[이슈동향] 2023.07.03 (5G, 6G, 양자)

 

 

구분 주제 이슈
     
  5G·6G
ㅇ 시장 현황 및 전망
‒ 5G 상용화 이후 다양한 응용 시장 형성으로 생태계가 확산하는 가운데, 광범위한 산업과 융합 서비스를 실현하며 한층 더 높은 파급력과 혁신성장을 불러올 6G에 대한 기대감 고조
ㅇ 업계 현황
‒ (해외) 전통의 노키아·에릭슨·화웨이와의 장비 시장 확보를 위한 투자가 경쟁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 미·중·일 주요 통신사의 투자 본격화
‒ (국내) 삼성전자의 글로벌 장비 공급 확대, SKT·KT·LGU+의 5G 네트워크 고도화 및 서비스 차별화 투자, 네이버클라우드의 5G 특화망 사업 진출 등 ICT 업계 행보 활발
ㅇ 정책 동향
‒ (해외) 5G를 넘어 6G 세계 시장 선점을 위해 국가 주도 R&D에 착수하며 기술패권 경쟁 돌입
‒ (국내) 6G 조기 상용화(’28년∼)를 목표로 핵심 원천기술 개발서비스 실증을 병행하며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이은 6G 1등 국가 도약 추진


  양자 ㅇ 시장 현황 및 전망
‒ 양자 기술은 양자 고유의 특성(얽힘·중첩 등)을 활용하여 기존 기술 한계를 뛰어넘는 초고속 연산(양자 컴퓨팅)·초신뢰 보안(양자통신)·초정밀 계측(양자센서)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기술
ㅇ 업계 현황
‒ (해외) IBM·구글 등 선도 기업이 연구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바이두·보쉬 등 후발주자의 진입과 투자 촉발
‒ (국내) 국내 이동통신사는 차세대 보안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양자암호통신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양자컴퓨팅을 활용한 업무 협약도 활기
ㅇ 정책 동향
‒ (해외) 미국·중국·EU·일본 등 글로벌 주요국은 양자 기술을 국가 정책의 핵심 과제로 포함시키며 비전을 제시하고 중장기적 정책 마련
‒ (국내) ‘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’에 12대 국가전략기술로 양자기술 포함시키고 동맹국과의 양자기술개발 연대·협력 강화, 양자전문가회의 개최 등 정책적 지원 강화

 

 

 

출처: https://iitp.kr/kr/1/knowledge/policyDataViewB.it